분류 전체보기 (46) 썸네일형 리스트형 TIL 20230621 vSQL 제약조건 이란? 제약조건(Constraint)은 각 컬럼들간의 제한사항을 관리하고, 조건을 위반하는 데이터를 방지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완전성을 보장하는 규칙입니다. 제약 조건(Constraint)은 데이터가 결함없이 완벽한 상태인 무결성(Integrity)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만약 어플리케이션에서 여러명의 사용자를 회원가입 받는다고 했을 때 사용자의 이메일이 중복되거나, 데이터가 고유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 정보를 가져올 수 없다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어렵겠죠? 또한 제약 조건은 여러분들이 테이블을 분석할 때 설정된 컬럼 속성들을 바탕으로 해당 테이블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됩니다. 테이블에 소속된 특정 컬럼이 중복된 키를 가질 수 없는 조건(Uni.. TIL 20230620 JWT 란?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인터넷 표준으로서 자리잡은 규격이다. 여러가지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header.payload.signature 의 형식으로 3가지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TIL 20230619 Node.js 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Node.js 는 JavaScript를 브라우저 없이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하나의 플랫폼이다 npm은 Node.js 와 같은 프로그램이다? - npm은 Node.js에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쉽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패키지 관리자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express는 서버라고 불러도 된다? - express 는 서버 프로그램을 쉽게 구성할 수 있게 만들어진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이다. WIL 20230612~20230616 HTTP 란 ? 데이터를 주고 받는 양식을 정의한 "통신 규약" 중 하나가 HTTP (통신규약 : Protocol) 매우 범용적인 양식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에서 제일 널리 쓰이는 통신 규약 이다. 여기서 말하는 통신 규약이란,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정해둔 약속을 의미한다. 어떻게 HTTP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까? HTTP에서는 언제나 Request, Response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서버와 브라우저의 관계로 보면 브라우저는 서버에게 자신이 원하는 페이즈를 요구(Request)하고, 서버는 브라우저가 원하는 페이지가 있는지 확인 후 해당 페이지에 대한 데이터를 반환(Response) 해준다. 웹 서버란? 웹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HTTP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응답해주는 통신.. TIL 20230614 프로그래머스 js 중복된 숫자 개수 배열과 임의의 숫자 n이 주어질때 배열에 n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로 for문과 if 를 사용하여 해결 하였다. TIL 20230613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 정리 Math.floor 소수값이 존재할 때 소수값을 버림 Math.ceil 소수값이 존재할 때 소수값을 올림 Math.round 소수값이 존재할 때 소수값을 반올림 Math.abs 음수는 양수로, 양수는 그대로 리턴한다. includes 문자열에 다른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 toLowerCase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해서 반환 toUpperCase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해서 반환 TIL 20230612 Node.js 란?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이다. Node.js는 이벤트 기반, 논 블로킹 I/O 모델을 사용해 가볍고 효율적이고 JavaScript를 브라우저가 아닌 컴퓨터에서 브라우저 없이 실행하게 도와주는 환경을 의미한다. Node.js에 특성으로는 논 블로킹 I/O, 싱글 스레드, 이벤트 루프가 있다. 기존의 블로킹 I/O는 프로그램 내부에서 함수를 호출하면 호출된 함수가 작업을 마칠 때까지 대기하는 방식이었지만, 논 블로킹 I/O는 함수가 실행되는 중에도 다른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싱글 스레드는 스레드 하나를 사용하여 동시에 한가지의 작업만을 처리하는 것으로 1개의 프로그램에서 여러개의 스레드를 사용할.. WIL 20230605 ~ 20230609 캠프에서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가 마무리 되어 프로젝트 진행 중 어려웠던 점을 복습 해보자 Localstorage 란 브라우저에 Key-value 값을 storage에 저장이 가능하며 저장한 데이터는 세션간 공유가 가능하다. 세션이 바뀌어도 저장한 테이터 유지 가능. (1) 데이터 저장하기(setItem) localStorage.setItem('key', 'value'); (2) 데이터 불러오기(getItem) localStorage.getItem('key'); (3) 데이터 삭제하기(removeItem) localStorage.removeItem('key'); 단 Localstorage 사용 시, 오직 문자형(string) 데이터 타입만 지원하기 때문에 숫자형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에 쓰고 다시 읽어보면.. 이전 1 2 3 4 5 6 다음